2022. 10. 22. 18:08ㆍ영화산책/현실을 꼬집다, 사회 비판 영화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xBoxReplace_250.png)
7명의 쌍둥이가 한 명의 인물로 살아간다면. 영화 월요일이 사라졌다(What Happened to Monday?)의 이야기다. 이들 쌍둥이는 '카렌 셋맨'이라는 인물로 자신의 요일에만 외출한다. 그러면서 밖에서 일어났던 일들을 서로 공유한다. 살아남기 위해서다.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xBoxReplace_250.png)
영화 월요일이 사라졌다는 식량 부족으로 인류가 인구를 줄여나가야만 한다는 디스토피아적인 설정을 담고 있다. 이 때문에 인류는 인구를 제한하고 '1가구 1자녀' 산아제한정책을 시행한다.
하지만 이 제도는 고스란히 빈곤층 아이들에게로 향한다. 힘없고 가난한 이들이 할 수 있는 거라곤 빌거나 그저 바라보는 게 전부다. 철저히 관리당하는 사람들의 모습에서 비참함이 묻어나온다.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xBoxReplace_250.png)
그러던 어느 월요일. 쌍둥이 중 하나인 '월요일'이 집에 돌아오지 않는다. 갑작스레 사라진 '월요일'을 찾기 위해 쌍둥이들이 나서면서, 이내 이들의 삶은 송두리째 흔들리기 시작한다. 평범했던 한 주가 한순간에 조각난 것이다.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xBoxReplace_250.png)
이처럼 영화 월요일이 사라졌다의 신선한 소재는 보는 이로 하여금 몰입을 하게 한다. 여기에 1인 7역을 소화해낸 루미 라파스의 연기도 영화의 흥미를 도운다. 중간중간 토미 위르콜라 감독의 과감한 연출력 또한 볼 수 있다.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xBoxReplace_250.png)
다만 후반부로 갈수록 눈길을 사로 잡았던 소재의 힘이 떨어지는 게 눈에 보인다. 액션만 강조되는 장면만이 화면에 채우며 영화의 메시지가 희미해진다. 결국 또 다른 복수극 영화가 된다는 얘기다. 마이클 베이 감독의 영화 아일랜드가 묘하게 오버랩된다.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xBoxReplace_250.png)
그런데도 영화 월요일이 사라졌다는 보는 이로 하여금 끌어들이게 하는 매력이 있다. 빠른 전개와 궁금해지는 결말로 인해 영화를 끝까지 보게 한다. 영화를 보고나서도 이 독특한 소재가 문득 떠오르는게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더욱이 각 요일 의 특성을 통해 인물과 흐름을 보는 것도 재미.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xBoxReplace_250.png)
주말 오후에 신선한 소재를 가진 영화가 끌린다면 이 영화와 함께 시간을 보내는 것이 어떨까.
어쨋든 나는 '월요일'이 싫다.
'영화산책 > 현실을 꼬집다, 사회 비판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명작 피아니스트, 참혹한 전쟁의 비극 (0) | 2023.02.08 |
---|---|
영화 브이 포 벤데타 해석, 저항의 상징이 된 '가이 포크스' (0) | 2022.11.15 |
독립영화 휴가, 어느 해고노동자의 휴가 (1) | 2022.10.03 |
영화 놉 해석, 조던 필 공포의 하늘 (0) | 2022.08.21 |
영화 울프콜, 전직 외교관이 바라본 핵 미사일 발사 명령 (0) | 2022.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