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니즘(2)
-
영화 바비 해석, 페미니즘? 휴머니즘?
'페미니즘 영화다', '휴머니즘 영화다' 영화 바비(Barbie)에 달린 댓글을 확인해 보면 이같은 내용을 쉽게 찾을 수 있다. 더욱이 네이버 영화 바비 평점만 봐더라도 '테러'에 가까운 수준으로 남녀의 입장이 엇갈린다. 같은 영화를 두고 확연히 다르게 해석한 것이다. 왜 그럴까. 영화 바비의 세계관은 독특하다. 바비랜드는 여성들, 바비가 주축을 이룬 세계다. 대통령, 판사, 의사 등 다양한 바비들이 중심이 되어 한 세계를 이끌어 간다. 매일 해변에 가고 저녁에 파티를 즐기며 또 다른 바비의 역할을 하는 전형적인 바비(마고 로비) 역시 마찬가지다. 이와 달리 바비랜드의 남성인 켄은 바비만 바라보는 존재로, 여성들 중심인 세계에선 조연에 불과하다. 그러던 어느날, 행복하기만 하던 바비의 하루가 달라진다. ..
2023.07.29 -
영화 스왈로우 해석, 원치 않은 임신에 대하여
영화 스왈로우 속 헌터(헤일리 베넷)의 삶은 평범해 보였다. 누가봐도 완벽한 집에서 살고 있었고 남편 리치(오스틴 스토웰)는 헌터에게 한없이 자상했다. 헌터의 일상은 남편의 내조 그 자체다. 집에서 청소를 하고 요리를 하고 빨래를 했다. 헌터는 이것이 행복이라고 굳게 믿었다. 그런 헌터가 임신을 하게됐다. 헌터의 불안한 표정이 잠시 잡혔지만, 리치와 리치의 엄마, 아빠의 환호에 헌터의 감정은 뒷전으로 밀리게 된다. 영화는 진행될 수록 헌터의 불안전한 존재가 도드라지는데 행복해보이는 가정 안에서 소위 '외톨이'의 모습이 툭 튀어나오게 된다. 헌터는 이러한 심리를 먹는 것으로 해소한다. 나도 무언가를 할 수 있다는 욕구를 소위 무언가를 삼키면서 마음의 위안을 얻는 것이다. 이는 일종의 저항에 가깝기도 하다...
2021.07.11